[뉴스특보] 일상 속 '과밀'에 익숙…'안전 불감증' 자성 목소리<br /><br /><br />300여 명의 사상자를 낸 이태원 참사….<br /><br />다시는 이런 일이 없으려면 예방책을 잘 세워야 할 텐데요.<br /><br />이번 사고를 계기로 우리 일상 속 '과밀 문화'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자세한 내용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와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 먼저 올해 핼러윈데이를 앞두고 이태원에 예상보다 많은 인파가 몰린 것, 그동안 '사회적 거리두기'로 강제적 고립을 경험한 것이 그 이유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희생자 대부분은 핼러윈을 즐기러 이태원을 찾은 20·30세대였습니다. 주최 유무가 쟁점이 될 수는 있지만, 기본적으로 20·30세대가 핼러윈을 즐기는 방식은 무엇이고, 이들에게 핼러윈 축제는 어떤 의미인가요?<br /><br /> 흔히 '군중심리'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요. 개별적인 참석자들은 질서를 지켜야 한다는 분명한 의식을 가지고 있습니다. 그런데 많은 군중이 밀집하고 보이지 않는 힘과 에너지가 만들어진 상황에서 흥분된 분위기가 만들어질 수밖에 없었던 상황으로 보입니다?<br /><br /> 이번 참사를 계기로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'과밀 문화'를 돌아보자는 이야기가 나오는데요. 핼러윈데이같이 특별한 날 말고 평소에 우리가 무감각해져 버린 '밀집 환경'은 또 무엇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이태원 참사를 보도한 외신들도 사고 원인으로 대규모 인파가 모이는 상황이 위험하다는 점을 시민과 당국 모두 간과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." 서울 시민들은 사람으로 가득한 공간에 익숙하다"는 해석, 동의하십니까?<br /><br /> '밀집'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. 매일 아침 '만원 지하철' 역시 일상이 되다 보니 위험할 수도 있다는 인식이 무뎌진 측면도 있는데요. 과거에 사고가 없었다고 해서 안전하다고 착각하면 안 되겠죠?<br /><br /> 밀집 환경이 사고로 이어지면서 이번 참사 생존자에게 '과밀 경험'이 일종의 트라우마로 남을 수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사진이나 영상을 통해 대형 참사를 실시간으로, 반복적으로 목격하는 우리 국민 모두가 트라우마 위험군이란 진단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 사고를 겪은 후 '전 국민 트라우마'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사고와 관련해 우려스러운 점도 많은데요. 어떻게 극복해 나가야 할까요?<br /><br />#이태원참사 #과밀문화 #헬러윈데이 #안전불감증 #트라우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